면역공학(Immune Engineering)
.
실용화 시기 : 1~2년
혁신성 : 암을 제거할 수 있는 Killer T세포(T cells) 설계 기술
의 의 : 암, 다발성경화증, 에이즈 등을 치료할 수 있는 면역시스템 설계가 가능
주요 참여자 : Cellectis, Juno Therapeutics, Novartis
MIT 기술 소개 (기술 개요)
혈액에서 면역 세포인 T세포 채취 후 게놈* 에디팅에 의해 유전자 조작된 T세포를 투여하여 치료 대상을 정확히 공략하도록 설계하는 기술
|
특징과 의미 (기술 적용 사례)
최근 영국(Great Orman Hospital)에서 급성 림프성 백혈병 진단을 받은 소녀(Layla)에게 게놈 에디팅을 적용해서 치료에 성공한 사례로 새롭게 주목
.
.
- T세포는 마치 동물의 행동과 유사하여 모든 곳을 두루 돌아다니는 자율적 행동체로서 타겟 세포에 접근 및 탐색 후 교정하는 역할
- 암세포를 공격할 T세포를 분자 방식이 아니라 알고리즘 방식으로 설계해 세포를 훈련시켜 치료하는 프로그램 설계 방식의 면역치료
- 주노 테라퓨틱(Juno Therapeutic)의 경우, T세포 설계에 7개월이 소요된 것을 7일 만에 실험을 완료
(향후 전망)
T세포 생성을 통한 인조 면역체계 설계로 난치병 치료에 청신호
- 내년 정도에 ‘미래지향형 T세포 생성을 통한 인조 면역체계 설계’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
- 백혈병, 에이즈, 암뿐만 아니라 여러 난치병 치료에 활용될 전망이며, 당뇨, 다발성경화증, 결핵성 피부염 등 자가면역 장애성 질환 치료에도 T세포 설계치료법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
* 다발성경화증 : 중추신경 조직을 구성하는 신경세포의 수초와 축삭에 염증이 생겨 탈수초 및 축삭 손상이 발생했다가 회복을 반복하는 질환으로, 발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 으로 추정
(과제 및 시사점)
게놈 에디팅을 이용한 체세포 치료의 정도와 범주에 대한 논의 필요
- 2015년 4월, 무명의 과학잡지「Protein & Cell」에 중국 중산대학 연구팀이 크리스퍼 카스9 (CRISPR - Cas9) 기술을 이용해 인간의 수정란을 세계 최초로 유전자 조작했다는 논문을 게재하면서 새로운 논란 야기
* CRISPR-Cas9 : 게놈 에디팅 복합체는 표적 유전자 DNA를 찾아가는 ‘유도 RNA(Guide RNA)’부분과 찾아간 표적 유전자의 DNA를 절단하는 기능의 카스9(Cas9)으로 구성
- 불치병 환자의 유전자 이상을 복구해서 질병을 치료하고, 다음 세대로 유전되지 않는 경우는 인정해야 한다는 긍정적 견해가 있으나,
- 조작된 유전자 특징이 이후 세대에까지 지속할 수 있는 시도이기 때문에, 어떤 관점에서도 유전자 에디팅은 인정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도 있음
.
- 1975년에 진행된 DNA 연구 당시에는 유전자 조작은 ‘신의 영역’으로 과학자는 연구 자유를 포기해야 하고, 진행할 경우에는 사회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결론
- 그러나 당시는 유전자 연구를 수행할 기관이 많지 않았고 과학자도 쉽게 접근할 환경이 아니었지만, 지금은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연구 환경으로 규제 장벽이 낮아진 상황
- 아직까지 과학자와 윤리학자들은 인간 수정란을 이용한 유전자 조작 연구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며, 윤리적·법적 측면에 대한 논의 필요
(출처 : KIAT)
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과 클릭하는 센스를 부탁드립니다.(로그인필요없음) 감사합니다.
'기술사업화 트렌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화 인터페이스(Conversational Interfaces) (0) | 2016.09.26 |
---|---|
농작물 유전자 에디팅 ( Precise Gene-Editing in Plants) (0) | 2016.09.25 |
디지털 신뢰 (Digital Trust) - 2016년 5대기술트렌드 (0) | 2016.09.23 |
예상 가능한 와해 (Predictable Disruption) - 2016년 5대기술트렌드 (0) | 2016.09.22 |
플랫폼 경제 (Platform Economy) - 2016년 5대기술트렌드 (1) | 2016.09.21 |